EQS Node Test와 Context
Test란
환경 쿼리 시스템(EQS)에서 Generator로 생성된 여러 아이템 중
Context를 참고해 Test를 수행하여
가장 최적의 아이템을 선정할 수 있다.
여러 Test를 같이 사용하여, 아이템의 범위를 효과적으로 줄여 아이템을 선정할 수 있다.
Test는 2가지 사용 방법이 있는데, Score와 Filter 또는 둘다 선택할 수 있다.
아이템에 가중치를 부여하거나 필터링하는 2가지 사용 방법이다.
Common Test - Distance
거리를 측정하는 Context + Text Mode(1차원, 2차원, 3차원)
각각의 Item과 선택한 위치의 거리를 반환한다.
Common Test - Trace
내용Trace Channel + Context
트레이스 함수처럼 관련 설정이 다 있음
주체가 무조건 자신인게 아니라 Context로 지정할 수 있음
Context란
EQS에서 Generator와 Text에서 참조할 수 있는
EnvQueryContext_Item
EQS에서 Generator로 생성된 것. Vector거나 Actor임 (무슨말인지 잘 모르겠음)
EQS Testing Pawn으로 보면 Sphere 형태로 에디터창에 보인다.
EnvQueryContext_Querier
AI Controller가 Possess 중이며, EQS를 실행 중인 Behavior Tree 가지고 있는 Pawn이다.
EnvQueryContext_BlueprintBase
커스터마이징할 수 있는 Context Base이다.
Override할 수 있는 4가지 함수 제공
반응형
'언리얼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Unreal] Collision 충돌 C++ (0) | 2023.08.24 |
---|---|
[Unreal] 내가 겪은 에러 모음 (2) | 2023.07.29 |
[Unreal] Spline을 이용한 캐릭터 이동 (0) | 2023.07.29 |